경기도 출산장려금 썸네일

경기도 출산장려금 및 양육비 총정리 | 2025년 최신 정보로 우리 지역 지원금 확인하기

⚠️ 중요 안내 (2025년 7월 기준)
본 글은 경기도청과 각 시·군 조례를 바탕으로 정리한 요약본입니다.
경기도 출산장려금과 양육비 지원은 수시로 변동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거주지 시·군청 공식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에서 최신 공고를 확인해야 합니다.


🤔 왜 이 정보가 중요할까요?

저출산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경기도는 각 시·군별로 다양한 출산장려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같은 경기도 내에서도 지원 기준과 금액이 천차만별입니다.

  • 어떤 도시는 첫째아부터, 어떤 곳은 둘째아부터, 일부는 넷째 이상부터 지원
  • 최소 20만 원에서 최대 2,000만 원까지 큰 차이
  • 일시 지급과 분할 지급 방식도 지역마다 다름

따라서 우리 가족이 받을 수 있는 정확한 출산 지원금을 미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기도 출산장려금 이미지

💰 첫째아부터 지원하는 지역 (25개 시·군)

경기도 대부분의 시·군은 첫째아부터 지원을 시작합니다.

🏆 고액 지원 지역 TOP 5

  1. 양평군: 첫째 500만 원, 둘째 500만 원, 셋째 1,000만 원, 넷째 이상 2,000만 원
  2. 가평군: 첫째 100만 원, 둘째 400만 원, 셋째 1,000만 원, 넷째 이상 2,000만 원
  3. 하남시: 첫째 50만 원, 둘째 100만 원, 셋째 200만 원, 넷째 1,000만 원, 다섯째 이상 2,000만 원
  4. 포천시: 첫째 100만 원, 둘째 300만 원, 셋째 500만 원, 넷째 이상 1,000만 원
  5. 안양시: 첫째 200만 원, 둘째 400만 원, 셋째 이상 1,000만 원

📋 전체 첫째아 지원 지역 요약

  • 수원시: 첫째 50만 원, 둘째 200만 원, 셋째 500만 원, 넷째 이상 1,000만 원 (+ 세 쌍둥이 500만 원 추가)
  • 고양시: 첫째 100만 원, 둘째 200만 원, 셋째 300만 원, 넷째 500만 원, 다섯째 이상 1,000만 원
  • 용인시: 첫째 30만 원, 둘째 50만 원, 셋째 100만 원, 넷째 200만 원, 다섯째 이상 300만 원 (장애인가정 별도 지원)
  • 성남시: 첫째 30만 원, 둘째 50만 원, 셋째 100만 원, 넷째 200만 원, 다섯째 이상 300만 원 (+ 셋째 이상 아동 매월 10만 원)
  • 화성시: 첫째 100만 원, 둘째 200만 원, 셋째 200만 원, 넷째 이상 300만 원
  • 안산시: 첫째 100만 원, 둘째 300만 원, 셋째 이상 500만 원 (+ 둘째 이상 자녀 0 ~ 5세 매월 3만 원)
  • 남양주시: 모든 자녀 동일 100만 원
  • 평택시: 첫째 50만 원, 둘째 120만 원, 셋째 300만 원, 넷째 이상 500만 원 (+ 셋째 이상 36개월간 매월 10만 원)
  • 파주시: 첫째 100만 원, 둘째 200만 원, 셋째 이상 300만 원
  • 의정부시: 첫째 30만 원, 둘째 이상 100만 원
  • 광주시: 모든 자녀 100만 원 (+ 셋째 이상 출생 12개월간 매월 20만 9천 원)
  • 광명시: 자녀 순위 무관 70만 원
  • 군포시: 첫째 100만 원, 둘째 300만 원, 셋째 500만 원, 넷째 이상 700만 원
  • 하남시: 첫째 50만 원, 둘째 100만 원, 셋째 200만 원, 넷째 1,000만 원, 다섯째 이상 2,000만 원
  • 오산시: 첫째 20만 원, 둘째 50만 원, 셋째 300만 원, 넷째 이상 600만 원
  • 이천시: 첫째 100만 원, 둘째 200만 원, 셋째 300만 원, 넷째 이상 500만 원 (+ 셋째 이상 12 ~ 84개월간 매월 5만 원)
  • 구리시: 첫째 50만 원, 둘째 100만 원, 셋째 200만 원, 넷째 이상 300만 원 (+ 연 5만 원 지역화폐)
  • 포천시: 첫째 100만 원, 둘째 300만 원, 셋째 500만 원, 넷째 이상 1,000만 원
  • 의왕시: 첫째 100만 원, 둘째 200만 원, 셋째 300만 원, 넷째 이상 500만 원
  • 여주시: 첫째 100만 원, 둘째 500만 원, 셋째 이상 1,000만 원 (+ 셋째 이상 0 ~ 5세 매월 10만 원)
  • 동두천시: 첫째 100만 원, 둘째 150만 원, 셋째 250만 원, 넷째 이상 500만 원
  • 가평군: 첫째 100만 원, 둘째 400만 원, 셋째 1,000만 원, 넷째 이상 2,000만 원
  • 과천시: 첫째 100만 원, 둘째 150만 원, 셋째 300만 원, 넷째 이상 500만 원 (+ 8 ~ 13세 둘째 이상 자녀 양육바우처 월 3 ~ 10만 원)
  • 연천군: 첫째 100만 원, 둘째 200만 원, 셋째 500만 원, 넷째 이상 1,000만 원

👉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청 공식 안내 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둘째아부터 지원하는 지역 (4개 시·군)

  • 수원시: 둘째 200만 원, 셋째 500만 원, 넷째 이상 1,000만 원 (첫째 50만 원은 별도 분류되어 경기도청 통계상 둘째부터로 표기됨)
  • 시흥시: 둘째 50만 원, 셋째 100만 원, 넷째 이상 800만 원
  • 김포시: 둘째 이상 100만 원
  • 안성시: 둘째 이상 100만 원

👨‍👩‍👧‍👦 넷째아 이상부터 지원하는 지역 (2개 시·군)

  • 부천시: 넷째아부터 700만 원 (분할 지급)
  • 양주시: 넷째 200만 원, 다섯째 이상 700만 원

💵 매월 받는 경기도 양육비 지원 현황

출산장려금과 별도로 매월 양육비를 지원하는 제도도 있습니다.

  • 성남시: 셋째 이상 아동 0 ~ 7세, 매월 10만 원
  • 안산시: 둘째 이상 아동 0 ~ 5세, 매월 3만 원
  • 평택시: 셋째 이상 아동, 출생월부터 36개월간 매월 10만 원
  • 광주시: 셋째 이상 아동, 출생일부터 12개월간 매월 20만 9천 원
  • 이천시: 셋째 이상 아동, 12 ~ 84개월간 매월 5만 원
  • 여주시: 셋째 이상 아동, 0 ~ 5세 매월 10만 원
  • 과천시: 둘째 이상 아동, 8 ~ 13세 미만 매월 3 ~ 10만 원 바우처

⚠️ 경기도 출산장려금 신청 전 반드시 체크할 사항

  • 거주 요건: 대부분 6개월~1년 이상 거주 필요
  • 신청 기한: 출생일 또는 입양일 기준 6개월~1년 내 신청
  • 지급 방식: 일시 지급과 분할 지급은 시·군마다 다르므로 반드시 확인
  • 필요 서류: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등 (지역별 추가 가능)

📞 마무리 및 확인 방법

경기도 출산장려금은 최소 20만 원부터 최대 2,000만 원까지 차이가 큽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 지역의 정확한 금액·거주 요건·신청 기한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 지금 거주지 시·군청 홈페이지에서 “출산장려금”을 검색하시거나, 주민센터로 문의해 보세요.

※ 본 글은 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된 요약본이며, 최종 효력은 각 시·군 공식 공고를 기준으로 합니다.


© 선우아빠. All rights reserved. 본 콘텐츠는 창작자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