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베트남 환율 썸네일

2025년 8월 베트남 환율, 이것만 알면 송금할 때 수십만 동 절약

달러 대비 베트남동 환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뉴스, 다들 보셨나요?
그런데 막상 원화에서 베트남동으로 환전해 보면 큰 변화가 없는 듯 느껴지셨을 겁니다.

그렇다면 지금 송금하는 게 유리할까요, 아니면 조금 더 기다려야 할까요?
오늘(2025년 8월 17일) 기준 베트남 환율 흐름과 주요 송금 앱별 비교, 앞으로의 전망까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이 ‘하나의 포인트’만 알아도 실제 송금에서 수십만 동을 절약하실 수 있습니다.


● 베트남 환율 현황 요약

  • 2025년 8월 15일 기준 미국 달러(USD) 대비 베트남 동(VND) 환율: 26,270 VND
  • 최근 한 달간 동화는 0.42% 약세, 12개월 기준으로는 4.87% 하락
  • 베트남 중앙은행(SBV) 고시 기준환율(8월 12일): 25,243 VND
  • 암시장 환율: 약 26,500 VND

최종 요약:

  • 공식 기준환율: 25,243 VND
  • 미드마켓 환율: 26,270 VND
  • 암시장 환율: 26,500 VND

👉 출처: 인사이드비나 기사


● 오늘 기준 원화 → 베트남동 환율 비교 (₩1,000 기준)

  • SBI 코스머니 (SBI KOS Money) : ₩1,000 = ₫18,967
  • Gmoney Trans : ₩1,000 = ₫18,892
  • 센트비 (SentBe) : ₩1,000 = ₫18,819
  • WireBarley (와이어바알리) : ₩1,000 = ₫18,764
  • Wise : 원화 → 베트남동 직접 송금 불가 (USD 등 외화 경유 필요)

👉 단순 환율만 보면 SBI 코스머니 > Gmoney Trans > 센트비 > 와이어바알리 순으로 유리합니다.
👉 하지만 실제 선택 시에는 수수료·송금 속도·수취 방식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송금 앱별 수수료와 속도 비교

  • SBI 코스머니 (SBI KOS Money)
    • 수수료: 평균 약 7,000원
    • 송금 속도: 1영업일 내 반영
    • 특징: 은행 계좌·ATM·현금 픽업 등 다양한 수취 방식 제공
  • Gmoney Trans
    • 수수료: 약 5,000원 (이벤트 시 무료)
    • 송금 속도: 5분 내 송금 완료 사례 다수
    • 특징: MoMo·ZaloPay 등 베트남 현지 지갑 연동 지원
  • 센트비 (SentBe)
    • 수수료: 기본 5,000원, 이벤트 시 무료
    • 송금 속도: 보통 당일 ~ 1영업일
    • 특징: 한국어 고객센터 운영, 직관적인 UI
  • WireBarley (와이어바알리)
    • 수수료: 50만 원 이상 무료, 미만 시 5,000원
    • 송금 속도: 평균 1영업일, 일부는 실시간 반영
    • 특징: 월렛 기능 제공 → 환율이 유리할 때 미리 환전 가능
  • Wise (와이즈)
    • 수수료: 송금액의 0.6~1.0%
    • 송금 속도: 통상 1영업일
    • 제약: 한국 원화에서 베트남동 직접 송금 불가 → USD 등 외화 경유 필요
    • 달러 경유 송금 장단점
      • 장점: 미드마켓 환율(투명성) 적용, 숨은 수수료 없음
      • 단점: 이중 환전 발생 → 추가 수수료 부담 가능

👉 더 자세한 앱별 비교: 한국 베트남 송금 앱 비교: Gmoney·센트비·SBI 수수료·환율 총정리


● 최근 뉴스: 달러 대비 베트남 동, 사상 최고치

  • 2025년 7월 2일, 베트남 국가은행은 기준환율을 상향 조정했고, 일부 상업은행은 달러 판매 환율을 26,345 VND까지 인상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이는 상반기 동안 베트남 동화가 달러 대비 약 3.1% 약세를 보인 결과입니다.

● 최근 원화 → 베트남 동 환율 흐름

  • 최근 6개월간 KRW/VND 환율은 7.04% 상승 → 원화가 동화 대비 강세
  • 2025년 7월 2일: 1,000 KRW = 19,347 VND (6개월 최고치)
  • 2025년 8월 13일: 1,000 KRW = 19,047 VND
  • 2025년 8월 15일: 1,000 KRW = 18,914 VND

즉, 원화는 강세를 유지하면서도 달러 대비 급등과 달리 원화/동 환율은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 환율 전망과 시사점 (2025년 8월 기준)

  1. 추가 강세 가능성
    • 미국 달러 강세가 완화되거나, 베트남 무역수지 악화가 이어지면 원화/동 환율이 다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2. 상승 후 안정화 국면
    • 7월 초 최고치(19,347) 이후 18.9대에서 안정세.
    • 단기적 급등 가능성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3. 단기 변동성 요인
    • 미국 연준(Fed) 금리 정책: 인하 시 달러 약세, 동화 강세 가능성.
    • 베트남 무역수지 적자 확대: 수입 증가가 동화 약세를 심화시킬 수 있음.
    • SBV 외환보유고: 중앙은행의 시장 개입 여력이 환율 안정에 관건.

● 독자를 위한 활용 전략

  • 환율 알림 설정: Wise 알림, 네이버환율 위젯 활용 → 최적 송금 타이밍 확보
  • 송금 타이밍 관리: 환율이 유리할 때 월렛 기능으로 미리 환전해두고 필요할 때 송금
  • 시장 뉴스 주시: 미국 금리·베트남 무역수지 기사와 연계해 환율 흐름 해석

© 선우아빠. All rights reserved. 본 콘텐츠는 창작자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