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베트남 금값, 정말 한국보다 쌀까? 직접 계산해본 충격 결과
2018년엔 분명 쌌는데… 2025년 베트남 금값, 내가 몰랐던 진실 (7월 최신)
하이퐁 리얼정보입니다.
며칠 전, 하이퐁에 있는 예전 단골 금은방을 다시 찾았습니다.
결혼 예물 반지를 맞췄던 곳이기도 한데, 그때는 한국보다 금값이 훨씬 저렴해서 정말 놀랐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이번에도 9999 순금(24K) 시세를 물었더니 이렇게 대답하더군요.
“오늘은 1그램에 2,818,067동입니다.”
‘그래도 여전히 싸겠지’라는 생각으로 계산기를 꺼냈습니다.
2,818,067동 × 0.05255 ≒ 약 148,200원
같은 날 한국 금 시세는 1그램당 149,886원이었습니다.
불과 1,600원 차이밖에 나지 않았습니다.
그 순간 깨달았습니다.
이제는 베트남 금이 확실히 싸다고 말하기는 어렵겠구나.

2018년과는 전혀 다른 금값 구조
2018년에는 1돈(3.75g) 기준으로 한국보다 10만 원 이상 저렴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국제 금 시세와 환율 변화가 베트남 금 시세에도 거의 실시간으로 반영되고 있어, 한국과의 가격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또한 2025년 상반기 동안 국제 금값이 약 30% 이상 급등했고, 베트남 금 시세 역시 이를 그대로 따라가고 있습니다.
현재는 명확히 ‘저렴하다’고 말할 수 있는 구조는 아닙니다.
970 금은 더 저렴하지만
현재 베트남에서 970 금(22K 기준)의 시세는 1그램당 약 2,586,000동입니다.
원화로 환산하면 약 136,000원 정도입니다.
9999 순금보다는 확실히 저렴하지만, 순도 차이를 감안하면 장기 투자로서의 메리트는 제한적입니다.
970 금은 실생활용이나 예물용으로는 적합하지만, 자산 축적 목적이라면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베트남 금이 여전히 주목받는 이유
첫째, 문화적 수요입니다.
베트남에서는 결혼, 출산, 명절 등 중요한 순간에 금을 주고받는 문화가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런 문화는 실물 금에 대한 꾸준한 수요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둘째, 세금과 유통 구조의 차이입니다.
한국은 금 구매 시 부가세 10%가 추가되고 브랜드 프리미엄, 가공비 등으로 실구매가가 높아지지만
베트남은 현금 거래가 일반적이며 전통 금은방 중심의 유통 구조로 인해 마진이 낮고 세금 부담이 크지 않습니다.
셋째, 정부 인증 브랜드 금의 활용성입니다.
SJC, DOJI 등 베트남 내 대표적인 금 브랜드는 신뢰도가 높아 장기 보유나 재매각 시 안정성이 뒷받침됩니다.
지금 나는 ‘사지 않는다’는 전략을 택했다
금값은 지금 매우 고점 근처에 있습니다.
저는 현재 금을 사는 자산이 아닌, 지켜보는 자산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금 사서 오를까’보다 ‘조정이 올 때를 대비하자’는 전략입니다.
베트남 금이 더 이상 절대적으로 싸지 않다는 점이 명확해진 지금, 섣부른 진입보다는 타이밍 조절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결론: 베트남 금, 이제는 가격보다 전략으로 접근해야 할 때
2025년 7월 현재, 베트남 금값은 한국과 사실상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금은 여전히 매력적인 자산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문화적 수요, 거래 환경, 세금 부담이 낮은 구조 등 내재적인 장점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금 시점에서는 무작정 ‘싸다’는 이유만으로 금을 구매하는 것은 합리적인 전략이 아닙니다.
금은 언제 사느냐, 얼마나 보유하느냐, 어떤 시점에 매도하느냐가 훨씬 더 중요합니다.
그리고 때로는 사지 않는 것도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하이퐁 현지에서 직접 체감하며 겪는 실물 자산 시장과 경제 흐름을
꾸준히 정리해 드릴 예정입니다.
이번 글이 금값과 투자 타이밍에 대해 고민 중이신 분들께 작지만 현실적인 기준이 되었길 바랍니다.
※ 본 글은 2025년 7월 19일 시세 기준이며, 투자 판단은 각자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 선우아빠. All rights reserved. 본 콘텐츠는 창작자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